티스토리 뷰
사람이 최소한의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소득이 있어야하고, 이러한 소득을 얻기 위해서는 근로활동을 하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일해서 돈을 버는 것인데요, 영원히 젊음을 유지하여 돈을 벌면 더할나위가 없는데요.
퇴직후 할 수 있는 일 이것
하지만 어느정도 나이가 차고 정년이 되면 자신이 한평생 일하던 곳에서 물러나야 하는 퇴직을 경험하게 되는 순간이 옵니다. 현재 우리나라 정년은 만 60세입니다.
요즘같은 100세 시대에서 60세에 정년퇴임한 후에 마냥 노후를 보내기에는 너무나도 많이 남은 시간인데요. 현재 70세, 80세에도 건강을 유지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고 그렇기 때문에 퇴직후 할 수 있는 일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인생 후반에 접어든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건강입니다. 하지만 건강은 경제적 여유도 따라야하고, 생활에서 여유로움이 있어야 무엇보다 더욱 지킬 수 있는 것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정년퇴임을 하신 분들이 퇴직후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을 하고 알아보기도 하고 있습니다. 퇴직후 할 수 있는 일 중에서는 전문성이나 경력을 쌓아 재취업을 하거나 창업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협동조합운영자·기술경영컨설턴트·창업보육매니저·귀농귀촌플래너·스마트팜운영자·흙집건축가·공정무역가·1인출판기획자·오픈마켓판매자·투자심사역·유품정리인·도시민박운영자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도시민박운영자는 부동산과 관련된 업종으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민박사업을 말하며, 민박을 직접 운영하며 관광객들이 편안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
민박을 직접 운영하는 것이지만 나이가 많아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직종으로 퇴직 후에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업종입니다. 자신이 맡았던 업무와는 전혀 다른 업종을 선택해서 퇴직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일정 교육과 훈련을 오랜기간 받아야하기 때문에 쉬운 길은 아닌데요, 대표적으로 노년플래너·전직지원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기업재난관리자·3D프린칭운영전문가·생활코치·주택임대관리사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주택임대관리사는 임대를 목적으로 주택의 시설물 유지·보수·개량·임대료징수·임차인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2014년 임대업자들의 관리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나온 제도로 생겨난 직업인데요.
예전에 비해 주택관리의 규모가 대형화 및 기업화되면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임대관리를 요하고 있는 직종입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일 또는 취미를 통해 소득을 올리는 퇴직후 직업도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목공기술자·숲해설가·문화재해설가·웃음치료사·심리치료사·음악치료사·부부상담사·청년창업지원가·인성교육강사·청소년유해환경감시원·도시농업활동가·마을재생활동가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문화재해설사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것을 관광객에게 쉽고 재미있게 해설을 해주는 것인데요.
오랜 시간을 살아온 경험과 살면서 익힌 역사적 지식을 바탕을 가지고 본인도 여행 및 관광을 즐기며 일도 할 수 있는 보람찬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