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엑셀 틀고정 방법

jlhyg 2020. 12. 28. 19:35
반응형

회사 업무를 수행하다보면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엑셀을 뽑을 수 있는데요. 대부분의 직장인이라면 다들 엑셀 마스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엑셀에는 많은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잘 활용하는 사람들도 모르는 기능들이 많이 있습니다.

엑셀 틀고정 방법

 

 

엑셀을 사용하다보면 '아 이런 기능이 있으면 좋을텐데...'라는 아쉬움이 들 때가 있죠. 그래서 그러한 기능이 있는지 찾아보면 실제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놀랄 때도 몇 번씩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엑셀 틀고정 기능이 있는데요. 엑셀의 틀 고정 기능을 사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엑셀 틀고정은 주로 문서 내용이 길거나 이 항목이 어떤 내용을 말하는 것인지 한 눈에 보기 편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문서가 길면 페이지가 넘어가서 타이틀 부분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타이틀 부분을 항상 고정되도록 하여 문서가 아무리 길어도 어떤 내용을 확인하는데 편리하게 작용됩니다.

 

 

엑셀 틀고정을 배워보기 전에 먼저 개념부터 잡고 가야 합니다. 엑셀은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실행 초기화면도 행과 열에 맞춰 표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행은 가로줄로써 엑셀에서는 영어로 되어 있는 부분이고, 열은 세로줄로써 엑셀에서는 숫자로 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이 행과 열에 맞춰 엑셀 틀고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틀고정의 기능을 살펴봐도 알 수 있다시피 첫 행 고정과 첫 열 고정, 그리고 틀 고정이라고 해서 행과 열을 모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요. 오늘은 이 세가지 기능을 모두 살펴보고,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엑셀 틀고정에서 첫번째는 첫 행 고정입니다. 첫 행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칸을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고정할 첫 행을 젤 위에 가게 위치한 뒤 [보기-틀 고정]을 선택해주면 되는데요.

 

 

여기서 첫 행 고정을 클릭해주면 1행과 2행 사이에 구분선이 나타나게 되고 마우스 휠을 내려도 1행을 고정되어 항상 표시됩니다.

 

 

그리고 틀고정을 해제시켜주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별도의 선택이 필요 없으며, 틀고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보기-틀 고정]을 선택해서 [틀 고정 취소]를 선택해주면 아까 있던 구분선이 사라지면서 마우스 휠을 움직이면 화면이 전체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엑셀 틀고정에서 두번째는 첫 열 고정입니다. 첫 열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첫 행 고정과 마찬가지로 별도로 칸을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고정할 첫 열을 젤 왼쪽에 위치한 뒤 [보기-틀 고정]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첫 열 고정을 클릭해주면 1열과 2열 사이에 구분선이 나타나게 되고 화면을 움직여도 1열을 고정되어 항상 표시됩니다.

 

 

그리고 틀고정을 해제시켜주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별도의 선택이 없이 틀고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보기-틀 고정]을 선택해서 [틀 고정 취소]를 선택해주면 아까 있던 구분선이 사라지면서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면 고정되었을 때와 달리 화면이 전체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행과 열 모두 엑셀 틀고정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때는 틀고정을 할 범위를 선택하기 위해 원하는 부분을 선택해줘야 하는데요. 임의의 문서 파일에서 월과 홍보비 광고비를 고정시켜주기 위해 초록색 부분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즉, 고정을 원하는 다음 행과 열을 선택해주면 되는데요. 이렇게 선택한 뒤 앞선 방법과 마찬가지로 [보기-틀 고정]을 선택한 뒤에 [틀 고정]을 선택하면 행과 열 모두 구분선이 생기게 되고 엑셀 틀고정이 됩니다.

 

 

마우스로 조작해도 항상 고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엑셀 틀고정 한 것을 취소하기 위해서는 앞선 방법과 마찬가지로 틀 고정 취소를 눌러주면 구분선이 사라지면서 평소와 같이 전체적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